Physical AI와 휴머노이드 분야의 글로벌 기술 흐름을 선도적으로 탐색·검증하여 제품화로 이어질 기술 파이프라인과 TRM(Technology Roadmap)을 구축합니다. 논문·오픈소스·특허·표준을 기반으로 사내 지식자산을 체계화하고 기술 전략과 내재화를 통해 차세대 로보틱스 경쟁력을 함께 구축할 분을 기다립니다.
1. 선행 리서치 및 검증
• 휴머노이드, 로보틱스 파운데이션 모델, 멀티모달 정책학습 등 글로벌 선행 기술 스캔
• 기술 성숙도(TRL) 및 경쟁기술 분석, 핵심 가설 설정
• 벤치마크·메트릭 설계 (Locomotion, Manipulation, Robustness 등)
• PoC 및 기술 검증 프로젝트 운영
2. 기술 로드맵 및 실험 설계
• 데이터·시뮬레이션·툴체인 중심의 중장기 TRM(Technology Roadmap) 수립
• 연구 목표에 기반한 실험 구조·모델링·시나리오 설계
• 기술 실험 결과의 성능 검증 및 개선 방향 도출
• Sim2Real, 안전/리스크 매트릭스, 데이터 거버넌스 정책 설계
3. 리서치 인텔리전스 운영
• 최신 논문·오픈소스·특허·표준 주기적 리뷰 및 리포트 발행
• 사내 저널클럽, 테크 세미나, 리서치 노트 공유 및 아카이브 관리
4. 아키텍처 및 평가 프레임 설계
• 휴머노이드 레퍼런스 아키텍처(지각·계획·제어·시뮬레이터) URS/FRD/CRS 정의
• AI, 비전, 제어, 센서 융합 기반의 통합 기술 프레임 설계
5. 국책사업 기술 문서화 및 기획
• R&D 제안서 기술 파트(문제정의·목표/KPI·실험계획·윤리·안전) 작성
• 데이터/시뮬레이션 인프라 전략 및 평가 대응 문서화
• 선행 기술을 제품·표준(시험·인증·안전규격)으로 연계하는 전략 수립
• Physical AI/휴머노이드/로보틱스/인지제어 등 관련 연구경력 3년 이상
• (필수) 최신 논문 리서치·재현·벤치마크 경험이 있는 분
• (필수) 국책과제 기술 문서(제안·수행·평가) 작성 및 전 주기 운영 경험이 있는 분
• 실험 설계 및 결과 검증(quantitative metric 설계) 경험이 있는 분
• 기술 문서 작성 및 R&D 협업 툴 사용(Notion, Git, Jira, Overleaf 등)에 능숙하신 분
• 복잡한 기술을 KPI·로드맵·실험계획으로 전환하는 분석력을 보유하신 분
• 엔지니어·리서처 간 커뮤니케이션 및 기술결정 협의 역량을 보유하신 분
• 휴머노이드(보행·조작),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RL/IL, MuJoCo·Isaac·Unity 등 시뮬레이터 경험이 있으신 분
• ROS2, 미들웨어, Sim2Real 프레임 설계 및 벤치마크/리더보드 운영 경험이 있으신 분
• AI Perception/Control/Sensor Fusion 등 다중모달 통합 연구 경험이 있으신 분
• 학회 발표, 오픈소스 기여, 논문·기술리뷰·백서 저술 경험이 있으신 분
• 국책연구(과기부·산업부 등) 제안서 기술 파트 작성 경험이 있으신 분
• 글로벌 협업 및 비즈니스 영어 역량을 보유하신 분
• 연 6일 병가 제공
• 야근 시 저녁 식대 지원
• 야근 시 교통비 지원 (밤 10시 반 이후 퇴근 시 안전하게 택시 타세요!)
• 출장용 법인 차량 운영
• 자가 차량 이용 시, 유류비 실비정산
• 업무용 도서 구입비 지원
• 주말수당 / 출장수당 지급
• 정밀건강검진 지원
• 생일 시 오후반차 및 상품권 지급
• 기타 경조 휴가 및 경조금 지급 등
서류합격 - 1차 실무진 면접 - 2차 임원진 면접 - 최종합격
*위 절차는 기본 프로세스로 경우에 따라 추가 절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Physical AI와 휴머노이드 분야의 글로벌 기술 흐름을 선도적으로 탐색·검증하여 제품화로 이어질 기술 파이프라인과 TRM(Technology Roadmap)을 구축합니다. 논문·오픈소스·특허·표준을 기반으로 사내 지식자산을 체계화하고 기술 전략과 내재화를 통해 차세대 로보틱스 경쟁력을 함께 구축할 분을 기다립니다.
1. 선행 리서치 및 검증
• 휴머노이드, 로보틱스 파운데이션 모델, 멀티모달 정책학습 등 글로벌 선행 기술 스캔
• 기술 성숙도(TRL) 및 경쟁기술 분석, 핵심 가설 설정
• 벤치마크·메트릭 설계 (Locomotion, Manipulation, Robustness 등)
• PoC 및 기술 검증 프로젝트 운영
2. 기술 로드맵 및 실험 설계
• 데이터·시뮬레이션·툴체인 중심의 중장기 TRM(Technology Roadmap) 수립
• 연구 목표에 기반한 실험 구조·모델링·시나리오 설계
• 기술 실험 결과의 성능 검증 및 개선 방향 도출
• Sim2Real, 안전/리스크 매트릭스, 데이터 거버넌스 정책 설계
3. 리서치 인텔리전스 운영
• 최신 논문·오픈소스·특허·표준 주기적 리뷰 및 리포트 발행
• 사내 저널클럽, 테크 세미나, 리서치 노트 공유 및 아카이브 관리
4. 아키텍처 및 평가 프레임 설계
• 휴머노이드 레퍼런스 아키텍처(지각·계획·제어·시뮬레이터) URS/FRD/CRS 정의
• AI, 비전, 제어, 센서 융합 기반의 통합 기술 프레임 설계
5. 국책사업 기술 문서화 및 기획
• R&D 제안서 기술 파트(문제정의·목표/KPI·실험계획·윤리·안전) 작성
• 데이터/시뮬레이션 인프라 전략 및 평가 대응 문서화
• 선행 기술을 제품·표준(시험·인증·안전규격)으로 연계하는 전략 수립
• Physical AI/휴머노이드/로보틱스/인지제어 등 관련 연구경력 3년 이상
• (필수) 최신 논문 리서치·재현·벤치마크 경험이 있는 분
• (필수) 국책과제 기술 문서(제안·수행·평가) 작성 및 전 주기 운영 경험이 있는 분
• 실험 설계 및 결과 검증(quantitative metric 설계) 경험이 있는 분
• 기술 문서 작성 및 R&D 협업 툴 사용(Notion, Git, Jira, Overleaf 등)에 능숙하신 분
• 복잡한 기술을 KPI·로드맵·실험계획으로 전환하는 분석력을 보유하신 분
• 엔지니어·리서처 간 커뮤니케이션 및 기술결정 협의 역량을 보유하신 분
• 휴머노이드(보행·조작),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 RL/IL, MuJoCo·Isaac·Unity 등 시뮬레이터 경험이 있으신 분
• ROS2, 미들웨어, Sim2Real 프레임 설계 및 벤치마크/리더보드 운영 경험이 있으신 분
• AI Perception/Control/Sensor Fusion 등 다중모달 통합 연구 경험이 있으신 분
• 학회 발표, 오픈소스 기여, 논문·기술리뷰·백서 저술 경험이 있으신 분
• 국책연구(과기부·산업부 등) 제안서 기술 파트 작성 경험이 있으신 분
• 글로벌 협업 및 비즈니스 영어 역량을 보유하신 분
• 연 6일 병가 제공
• 야근 시 저녁 식대 지원
• 야근 시 교통비 지원 (밤 10시 반 이후 퇴근 시 안전하게 택시 타세요!)
• 출장용 법인 차량 운영
• 자가 차량 이용 시, 유류비 실비정산
• 업무용 도서 구입비 지원
• 주말수당 / 출장수당 지급
• 정밀건강검진 지원
• 생일 시 오후반차 및 상품권 지급
• 기타 경조 휴가 및 경조금 지급 등
서류합격 - 1차 실무진 면접 - 2차 임원진 면접 - 최종합격
*위 절차는 기본 프로세스로 경우에 따라 추가 절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